🥛비용 절감과 빠른 리드타임을 위한 효율화 방법 - 혼적·프리풀·크로스도킹·밀크런
지난주에는 미국 대선이라는 큰 이벤트가 있었습니다. 다양한 기관에서 관련 자료를 많이 제공하고 있어, 저희는 별도의 포스팅을 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대신, 이번에는 해운물류보다는 물류 전반에서 리드 타임과 비용 절감을 중심으로 한 물류 효율화 방법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한 번쯤 들어봤지만 정확히 알기 어려웠던 개념들을 간단하게 확인해 보세요!
|
|
|
🛳️ 트럼프의 새 무역전쟁 , 공급망 충격에 수입업체들 주문 앞당기며 대책 마련
트럼프의 무역 전쟁 공약으로 기업들이 예상되는 관세 인상 전 물량을 앞당겨 수입하려 하며 공급망이 혼란에 빠지고 있다.
트럼프는 중국 수입품에 최대 100% 관세를 예고해 수입업체들이 선적을 서두르고 있으며, 이는 단기적으로 해운 및 물류 비용을 급등시킬 전망이다.
전문가들은 무역 불확실성으로 인해 물류와 제조업체들이 타격을 받을 가능성을 경고하며, 특히 멕시코와의 무역이 새 관세 체제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예상한다.
|
|
|
📣 해운 물류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
|
|
🗃️ 아시아 역내 컨테이너 해운 시장, 글로벌 성장률 초과
해운 및 물류 시장 분석 전문기관 드류리의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5년간 아시아 역내 컨테이너 시장의 연평균 성장률이 3.6%로 글로벌 해운 시장 성장률(0.7%)을 크게 앞질렀다.
2023년 아시아 역내 컨테이너 물동량은 5,200만 TEU에 달하며, 중국, 일본, 한국, ASEAN 국가 간 무역 증가가 지속적인 성장을 이끌 것으로 예상된다.
드류리의 인트라-아시아 컨테이너 시장 인사이트 서비스는 아시아 지역 내 물류 정보를 제공해 시장 모니터링, 예산 계획, 잠재적 리스크 대응을 지원한다
|
|
|
🛳️ 컨테이너선 인도량, 250만 TEU로 사상 최고치 기록
2024년 들어 컨테이너선 인도량이 250만 TEU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구형 선박의 폐선이 적어지면서 전 세계 컨테이너선 용량이 연초 대비 8.7% 증가해 총 3,040만 TEU에 이르렀다.
신조 발주도 활발히 이어져 올해만 330만 TEU가 신규 발주에 포함되었고, 현재 발주 잔고는 전체 선박 용량의 25%에 달해 향후 몇 년간 공급 과잉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12,000~17,000 TEU급 대형 선박이 주요 성장을 이끌고 있으며, 향후 수년간 추가 인도가 예정되어 있어, 폐선 속도에 따라 전체 선대 성장이 최대 14%로 제한될 수 있다.
|
|
|
🌳 미국 남부, 목재 생산에서 캐나다 추월할 전망
미국 남부가 캐나다를 제치고 북미 최대 연목재 생산지로 부상할 전망이다. 이는 오랜 무역 분쟁으로 인한 미국의 높은 관세, 산불 피해, 병해충 및 토지 규제 등으로 캐나다 목재 산업이 큰 타격을 입었기 때문이다.
미국은 최근 캐나다 연목재에 대한 수입 관세를 81% 가까이 인상했으며, 추가 인상 가능성도 제기되고 있다. 이로 인해 캐나다 주요 산림업체들이 높은 비용과 수익 감소로 서부 지역의 제재소를 연이어 폐쇄하고 있다.
미국 주택 건설 증가로 목재 수요가 꾸준히 늘고 있으며, 2024년 이후 수요가 공급을 초과할 가능성이 높아 목재 가격 상승이 예상된다.
|
|
|
🌬️태풍 영향으로 동중국해 컨테이너 운송 지연 및 항만 혼잡 발생
태풍 콩레이의 영향으로 동중국해의 주요 항만에서 컨테이너 선박 지연과 혼잡이 발생하고 있으며, 타이완과 중국 항만에서 정박 대기 시간이 최대 2~3일로 늘어나고 있다.
타이완의 가오슝항은 최대 이틀의 정박 지연을 겪고 있으며, 상하이와 닝보 항만도 태풍 영향으로 운영이 지연되었다가 주말부터 점진적으로 화물 처리를 재개하고 있다.
해운사 ONE은 아시아-유럽 노선 및 동남아 노선의 선박 운항 일정이 지연되고 있으며, 이전 태풍들로 인해 일부 구간의 항해 시간이 10~13일 증가했다고 전했다.
|
|
|
▲ 항로별 운임은 마켓플레이스에서 제한없이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
|
|
- (💰환율)
-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재선 성공으로 고(高)환율 시대 우려. 보호주의가 확대되면 달러를 비롯한 미국 자산에 대한 수요가 늘고, 감세로 미 연방정부 재정적자가 커지면 국채 발행이 늘고 국채 금리가 오르며 달러화 강세 예상.
- (🛢️유가)
- 도널드 트럼프 당선인이 이란과 베네수엘라에 대한 제재를 강화할 수 있다는 예쌍이 나오며 국제유가 상승세
|
|
|
-
💵 미국 연준 11월 FOMC 회의 결과 및 평가 (🔗국제금융센터)
FOMC는 금일 만장일치로 정책금리를 25bp 인하(4.75~5.0%→4.50~4.75%)
- 정책 결정: 위원회는 고용과 인플레이션 목표달성을 위한 위험이 대체로 균형(roughly in balance)을 이루고 있다고 판단하며 목표달성을 지원하기 위해 정책금리를 인하 결정
- 경제 상황: 경제활동은 견조한 속도(solid pace)로 지속 확장되고 연초 이후 노동시장 상황은 대체로 완화(generally eased). 인플레이션은 2% 목표를 향해 진전이 있었지만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평가
파월 의장은 대선 결과와 통화정책의 단기적 무관함을 강조했으며 견조한 성장과 물가 목표 동시 달성에 대한 낙관적 시각을 제시
- 경제상황 인식: 3분기 2.8% 성장률과 견조한 고용지표 등을 감안할 때 경제활동은 양호하며 실질 임금도 상승. 인플레이션도 승리를 선언하기에는 이르고 일부변동성(bumpy path)은 있겠지만 2% 목표수준으로 복귀하는 경로에 있다고 평가
- 💸 2024년 9월 국제수지(잠정) (🔗KDI 경제정보 센터)
’24년 9월 경상수지는 111.2억달러 흑자를 기록하였으며, 수출이 616.7억달러로 전년동월대비 9.9% 증가, 수입은 510.0억달러로 4.9% 증가하여 106.7억달러 흑자를 나타냄.
금융계정은 126.8억달러 순자산 증가하였으며, 내국인 해외투자가 24.7억달러 증가하고 외국인 국내투자는 14.4억달러 증가함.
내국인 해외투자가 채권을 중심으로 75.0억달러 증가하고 외국인 국내투자는 주식을 중심으로 13.0억달러 감소하였으며, 파생금융상품은 6.9억달러 감소함.
|
|
|
- 저렴한 해상운임을 빠르고 쉽게 예약하는 방법 (#1 마켓플레이스) 🔗바로가기
- SURFF의 해운데이터를 통한 공급망 인사이트 (#2 해운데이터맵) 🔗바로가기
- 물류 실무자들을 위한 SURFF의 추천 서비스 (#3 부가서비스) -🔗바로가기|
- 서프컴퍼니의 IT팀 기업문화 이야기 🔗바로가기
- 물류의 혁신을 만드는 사람들 | SURFF 개발자 인터뷰 #1 🔗바로가기
- SCM FAIR 참석 후기 · QnA 🔗바로가기
- 📩물류의 혁신을 만드는 사람들 | SURFF 개발자 인터뷰 #2 🔗바로가기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