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존의 관세청 및 해양수산부 제공 데이터는 중량과 거래 금액을 중심으로 제공되어 컨테이너 물류 담당자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했습니다.
🙆♂️ 이번에 새롭게 제공되는 Trade Data 서비스에서는 특정 Port를 입력하면 해당 Port로 수출된 컨테이너 기반의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특정 Port로 선적한 주요 선사와 그들의 선적량을 비교할 수 있게 해주며, 해당 Port로 주로 수출된 주요 품목을 확인하고 급등락한 품목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 또한, 해당 Port로 많이 수출한 회사의 목록과 회사별 수출량을 비교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합니다.
추가로, 3분기 전에는 선사 데이터를 활용한 대시보드도 구성할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최근 우리 경제는 높은 수출 증가세에도 불구하고 내수 회복세는 가시화되지 못하면서 경기 개선세가 다소 미약한 모습 (🔗 KDI 경제동향 2024. 7)
수출은 ICT 품목을 중심으로 양호한 흐름을 지속 -글로벌교역 부진이 완화되는 가운데 반도체경기도 호조세를 지속 -이에 따라 반도체 수출과 생산이 높은 증가세를 나타냄.
그러나 고금리 기조가 지속됨에 따라 내수는 회복세를 보이지 못함. -대출 연체율이 상승하는 가운데 소매판매, 설비투자, 건설투자가 모두 감소세를 나타냄. -이에 따라 물가상승세가 물가안정목표에 근접하고 있으며, 고용 여건도 서비스업과 건설업을 중심으로 조정되는 흐름을 보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