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왜 글로벌 선사들은 '친환경 선박 발주에 몰두할까'
OOCL은 30억 달러를 들여 메탄올 듀얼-퓨얼 컨테이너선 14척을 한꺼번에 주문했습니다.머스크·CMA CGM·COSCO 같은 톱 선사들또한 LNG·메탄올·암모니아를 두루 태울 수 있는 차세대 선박 확보 전쟁에 뛰어들었습니다.
2026년 배출·탄소보고 의무가 100%로 확대되면, 지금 투자하지 않은 선사는 폭등한 배출비와 까다로워진 화주 요구라는 ‘이중 폭탄’을 떠안게 될지도 모릅니다.
|
|
|
🎇 운임 하락 속 선사들 공급 조절 시도… 과잉 공급 압력은 지속
• 2025년 상반기 선사들은 일부 공급 조절에 성공했지만, 하반기엔 태평양 횡단 노선 운임 급락 등 과잉 공급 압력이 확대되고 있음.
• MSC와 CMA CGM의 중고 선박 매입, 항만 혼잡, 수에즈 회피 등 외부 요인도 공급 억제에 일조하고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한계가 있음.
• 업계는 골든위크 이후 수요 감소, 소비 위축 가능성에 대비해 하반기 공급 조절의 진짜 시험대에 오를 전망임.
|
|
|
🔽 하반기 미주항로 물동량 감소 전망… 아시아-유럽은 회복세
• 미국의 관세 유예 종료와 재고 과잉 여파로 하반기 미주항로 수요 급감 및 운임 하락이 예상되고 있음.
• 반면 아시아-유럽 항로는 상반기 7.3% 물동량 증가에 힘입어 BIMCO가 연간 성장률 전망치를 6%로 상향 조정함.
• 8월부터 아시아-유럽 항로 투입 선복이 감소하며, 수요가 유지될 경우 운임 반등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임.
|
|
|
⚠️트럼프, 나토 방위비 거부한 스페인에 '관세 두 배' 경고
• 트럼프 대통령이 스페인의 나토 방위비 지출 거부를 비판하며, 미국이 스페인에 두 배의 관세를 부과할 수 있다고 경고함.
• 스페인 정부는 EU 차원의 협상을 강조하며 트럼프 발언을 일축했고, 스페인 주가지수는 관련 발언 직후 하락폭 확대함.
• EU는 미국의 기존 철강·자동차 관세에 대응해 보복관세 목록을 확대 중이며, 대미 무역 갈등이 심화되는 양상임.
|
|
|
📣 해운 물류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
|
|
🏭 터키 해협 통행료 인상, 우크라 곡물 수출에 부담
• 터키가 흑해 해협 통행료를 7월 1일부터 15% 인상하면서 우크라이나 곡물 수출 물류비가 상승할 전망임.
• 이로 인해 이집트, 이탈리아, 스페인 등 주요 시장으로의 가격이 증가할 수 있어 가격 경쟁력 저하 우려가 제기됨.
• 우크라는 올해 4,030만 톤의 곡물을 수출했으며, 대부분이 터키 해협을 경유함.
|
|
|
🌉미국 주요 항만 5월 물동량 감소…10개월 만에 첫 역성장
• 로스앤젤레스와 롱비치항 등 미국 주요 항만이 5월에 전년 대비 물동량 감소를 기록, 일부 항만은 10개월 만에 첫 역성장을 나타냄.
• 미국 전역의 항만은 대체로 상반기 관세 앞당기기 효과로 누적 물동량은 증가했으나, 5월부터는 관세 영향으로 하락세 전환됨.
• 일부 항만은 하반기 관세 일시 유예 종료 전 다시 물량이 몰릴 것으로 예상하며, 이에 대비한 설비 투자와 개선 작업을 지속하고 있음.
|
|
|
▲ 항로별 운임은 마켓플레이스에서 제한없이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
|
|
[이슈] 이란-이스라엘이 휴전에 합의함(6.24일)에 따라 양국간의 무력 충돌은 진정 국면에 접어들면서 12일간 이어진 전쟁은 일단락되는 모습
[전망] 핵 개발을 둘러싼 실존적 위협이 해소되지 않았고 이번 전쟁으로 인해 이념 충돌, 내부 정치적 갈등 등 구조적 문제가 오히려 심화되어 시차를 두고 양국간의 마찰이 재발할 가능성이 상당
[시사점] 이번 합의로 글로벌 불안심리가 당분간 안정세를 보이더라도 이-이갈등이 재점화되면서지경학적 리스크가 재부각될 가능성에 유의
[경제 동향] 1분기 성장률이 5.4%로 예상치를 상회했고 4~5월 소비·투자가 개선됐으나, 부동산시장은 4년 가까이 침체를 이어가고 물가도 낮은 수준을 유지했다. 미·중 상호관세(4 월 2 일) 충격으로 급락했던 주가는 점차 회복세로 돌아섰고 위안화 환율도 비교적 안정적으로 움직였다.
[정부 대응] 관세 여파를 상쇄하기 위해 확장적 재정을 대폭 늘려 단기 소비를 자극하고, 소득 증대·사회보장 강화·신문화산업 육성 등 중장기 정책을 병행했다. 동시에 부동산 부양 기조를 유지하면서 AI·신에너지차·친환경 분야 등 첨단산업 투자를 핵심 전략으로 제시해 산업 구조개선과 미국 견제 대응을 노렸다.
[전망 및 리스크] 하반기 수출은 관세로 둔화되지만 내수 부양책 덕분에 연간 성장률은 4.5% 안팎, 장기적으로는 3%대가 전망된다. 첨단산업 투자가 성장률을 약 1.1%p 끌어올려 부동산 침체의 30%를 상쇄할 것으로 보이나, 부동산 회복 지연·민간 활력 저하·외국인투자 감소와 같은 내부 취약성과 미국의 지속적 견제로 정부 주도 성장 여력에는 제약이 남아 있다.
─────────────────────────────────── * 위 내용은 주요 기관의 경제 브리핑 내용을 요약/정리한 내용입니다.
|
|
|
(💰지난주 환율 동향)
-
-
원/달러 환율이 주간 고점 1,391원대(6 월 23 일)에서 저점 1,351원대(6 월 26 일)까지 등락한 뒤 27 일 1,365원선에 마감해 전주 대비 약 0.6% 하락했다.
-
美 연준 인사(보스턴 연은 콜린스 총재)의 “연내 인하 가능” 발언이 달러 약세를 부추기며 원화 강세를 견인했다.
-
반도체 수출이 20일 기준 전년 대비 21.8% 급증하며 외국인 순매수와 자금 유입이 확대돼 원화 강세 요인으로 작용했다
(🛢 지난주 유가 동향)
-
-
WTI가 20 일 74.93달러에서 27 일 65.52달러로, 브렌트유가 76.96달러에서 67.77달러로 주간 약 12% 급락해 2023 년 3 월 이후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
23일 이스라엘-이란 간 휴전 발표로 중동 공급 차질 우려가 완화되면서 하루에만 6% 이상 밀리며 하락세가 본격화됐다.
-
주중 미국 원유 재고 580만 배럴 급감 소식이 반등을 이끌었으나, OPEC+가 8 월 증산을 검토한다는 보도까지 겹치며 70달러선 회복 시도는 제한됐다
|
|
|
✨ 물류에서 직관과 데이터는 어떻게 공존할까요?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