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전일(미국시간 4/2일)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고강도 상호관세 부과에 이어 우리나라 대통령 탄핵 심판 결과가 발표되면서 국내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
[시장 반응] 전일 국제금융시장이 미국發 상호관세 충격을 소화하면서 크게 악화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국내 금융시장은 정치적 불확실성 완화 등으로 제한적 반응 [해외시각] 탄핵심판을 통해 정치적 불확실성이 일부 완화되었으나 미국 관세정책에 의한 성장둔화 우려를 반영해 확장적 재정정책과 완화적 통화정책에 대한 기대가 증가 (탄핵 심판) - 탄핵 인용 결정으로 한국의 정치적 불확실성이 일부 완화되었지만, 비상 계엄 선포에서부터 탄핵심판에 이르기까지의 과정에서 드러난 깊은 사회적 분열이 6월 대선까지 이어지면서 경기 및 시장 회복을 제한할 것이라는 견해도 상존 - 추경 등 확장적 재정정책이 추진되겠으나 성장세를 크게 개선시키기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며, 경기 부진에 따라 한국은행의 금리인하 시점이 앞당겨질 가능성이 제기 (관세정책 관련) 트럼프 행정부의 상호관세 조치가 예상보다 강하게 발표되면서 주요국 성장 둔화 및 통화정책 완화 전망이 증가. 한국의 경우 정책대응 기대가 확대
미국의 실효관세율 상승에 따른 성장둔화 우려를 기반으로 주가ㆍ금리 하락 전망이 증가. 미 달러화는 세계경제 둔화 여부에 따라 강/약세 전망 혼재
[평가] 국내 금융시장은 대내 정치적 불확실성 완화 인식 등에 의해 여타 아시아 국가들에 비해 양호한 반응을 보이고 있으나, 실물경제 활동을 위축시킬 수 있는 하방 위험이 잔존하므로 당분간 위험회피 분위기가 이어질 가능성에 대비할 필요
─────────────────────────────────── * 위 내용은 주요 기관의 경제 브리핑 내용을 요약/정리한 내용입니다.
(💰지난주 환율 동향)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이후 국내 정치적 불확실성이 일부 완화되었으나, 여전히 조기 대선과 경제 정책 방향에 대한 우려가 남아 있습니다.
한국 경제의 기초 체력 약화와 수출 둔화 등 구조적 문제도 원화 약세를 부추기고 있습니다.
(🛢 지난주 유가 동향)
지난주 WTI 유가는 약 7% 하락하여 배럴당 $62로 떨어졌습니다. 이는 4년 만에 최저치로, 중국의 경제 보복 조치와 글로벌 경기 둔화 우려가 주요 원인으로 작용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