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FCPA 폐지 행정 명령 서명
미국의 해외부패방지법(Foreign Corrupt Practices Act, FCPA)은 1977년 제정된 미국 법으로, 미국 내 기업이 해외에서 공무원에게 뇌물을 제공하거나 회계 부정을 저지르는 행위를 금지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부패방지법 폐지 행정명령에 서명한 것입니다.
|
|
|
🗓️ 美, 중국 선박 입항 때마다 최대 150만달러 수수료 부과
- 미국 무역대표부(USTR)가 지난 21일 중국 선사 및 중국산 선박과 관련한 해상 운송 서비스에 수수료를 매기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 세계 조선·해운시장에서 막강한 중국의 영향력을 낮추려는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계획이 구체화한 것이란 분석이다.
|
|
|
🛳️ ‘배고픈’ 선사들, 태평양 동향 노선 할증료 인하… 예약 둔화 영향
- 태평양 동향 노선의 주요 선사들이 수요 둔화와 최근 2주간 30% 이상 하락한 운임을 반영해 성수기 할증료(PSS)를 인하했다. 하팍로이드는 PSS를 1,000달러에서 500달러로 줄였으며, ONE, CMA CGM, Zim 등도 각각 할증료를 낮추며 경쟁이 심화되고 있다.
- 중국 춘절 이후 미국 수입업체들의 신규 발주 감소와 경제 불확실성으로 인해 예약이 둔화되며, 3~4월 운임 하락이 계속될 경우 선사들의 계약 협상력이 약화될 전망이다.
|
|
|
📣 해운 물류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
|
|
👮♀️밴쿠버 항 혼잡 악화 – 그러나 항만만의 문제가 아니다
- 밴쿠버 항의 혼잡이 악화되고 있으며, 철도 운영 제한과 선사 일정 불안정이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 겨울철 기상 악화로 CPKC 및 CN 철도가 운행 제한을 적용하면서 열차 속도와 길이가 줄어들어 수입 화물 체류 시간이 증가하고 있다.
- 일부 선박은 기존 일정 지연으로 인해 장기간 대기하고 있으며, 이는 항만 혼잡을 가중시키는 주요 요인 중 하나로 지적되고 있다.
|
|
|
👷♂️관세 우려로 로스앤젤레스 항만 수입 물량 사상 최고 기록
- 로스앤젤레스 항만은 트럼프 행정부의 예상된 관세 인상으로 인해 1월 수입 물량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며 전년 대비 8% 증가했다.
- 수입 컨테이너는 9.5% 증가한 483,831TEU를 기록했으며, 수출은 10.5% 감소하며 미국 제조업과 농업계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 항만 관계자들은 단기적으로 화주들의 사전 선적 전략이 지속될 것으로 예상하지만, 연말에는 화물량이 다소 감소할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
|
|
▲ 항로별 운임은 마켓플레이스에서 제한없이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
|
|
(💰지난주 환율 동향)
- 러시아-우크라이나 종전 기대감으로 인한 일시적 달러 약세를 띄었으며,
- 미 연준의 금리 동결 기조 재확인과 인플레이션 우려로 인해 하락폭이 제한됨
(🛢 지난주 유가 동향)
|
|
|
- 주요국별 트럼프 관세 대응 점검 (🔗국제금융센터)
[동향]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월 일부국에 대한 관세부과에 나서고 4월부터 본격적인 과세를 준비하자 주요 교역국들은 적극적인 대응 움직임을 보이고 있음
트럼프 대응조직 가동 : 대다수 국가가 트럼프 2기 정책에 대응하는 가운데 일부국은 신속한 대응을 위해 부처로 구성된 테스크 포스를 별도로 구성 (영국,캐나다,EU,일본 등)
트럼프팀과의 소통 강화 : 각국은 트럼프 개인 및 정부 인사, 트럼프 1기시 인사 등을 통해 소통을 강화하고 자국 보호 로비에 전력. 일본, 인도, 베트남, 영국 등이 적극적
관세 대응(맞관세,관세인하) : 관세 피부과국들은 △맞관세 조치 발표후 물밑 접촉을 모색. 일부는 △대미 관세율 인하 또는 대미 무역적자를 이용해 △관세 예외 적용을 모색
미국 투자 확대 : 일본, 대만 등은 △미국 생산시설 이전 및 확대 △미국 프로젝트 참여 △미국 기업 투자 등을 통해 트럼프의 자국내 생산 및 고용 확대 요구에 부응
미국산 수입 확대 : 일본, 베트남, EU, 인도, 태국 등 대미 무역흑자국을 중심으로 미국산 수입 확대를 통해 흑자규모를 줄이는 계획을 발표하거나 시사
무역협정 조정 : 트럼프의 종전 무역협정 파기 및 재협상 시사에 대응해 멕시코, 중국, 인도 등은 무역협정 재협상을 시사하고 준비팀을 구성하는 등 조기 협상을 추진
미국 기업 압박 : 중국, EU 등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국가들은 맞관세 대응과 함께 자국 내에서 활동하는 미국 기업들에 대한 제재를 시사하며 트럼프 행정부를 압박
경기부양 : 다수 국가들은 이미 트럼프 취임 전부터 경기부양 기조 상황에서 캐나다, 멕시코, 중국, 태국 등은 트럼프 정책 영향을 줄이기 위해 추가 부양에 나서고 있음
─────────────────────────────────── * 위 내용은 주요 기관의 경제 브리핑 내용을 요약/정리한 내용입니다.
|
|
|
- 저렴한 해상운임을 빠르고 쉽게 예약하는 방법 (#1 마켓플레이스) 🔗바로가기
- SURFF의 해운데이터를 통한 공급망 인사이트 (#2 해운데이터맵) 🔗바로가기
- 물류 실무자들을 위한 SURFF의 추천 서비스 (#3 부가서비스) -🔗바로가기
- 서프컴퍼니의 IT팀 기업문화 이야기 🔗바로가기
- 물류의 혁신을 만드는 사람들 | SURFF 개발자 인터뷰 #1 🔗바로가기
- 물류의 혁신을 만드는 사람들 | SURFF 개발자 인터뷰 #2 🔗바로가기
- ✨ 물류의 혁신을 만드는 사람들 | SURFF 대학생 인턴 인터뷰 #3 🔗바로가기
- 24년 12월 업데이트 소식 🔗바로가기
- 25년 1월 업데이트 소식 🔗바로가기
- ✨ 25년 2월 업데이트 소식 🔗바로가기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