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 운임은 아래 사이트에서 제한없이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
|
|
👷*속보* 미 동부 항만 노조, 파업 개시
미 동부 항만노조와 사측이 9월 30일까지 최종 협상이 무산되면서, 10월 1일을 기점으로 걸프만~미국 동부 항구 노조들은 파업을 개시하였습니다.
이와 관련된 노조의 성명과 주요 언론 (BBC, CNBC)의 내용으 정리해보았습니다.
|
|
|
🚙미국 금리 인하가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2024년 9월 19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4년 6개월 만에 50bp(0.5%) 금리 인하를 발표하면서 ‘빅컷(Big Cut)’이라는 용어가 주목받았습니다.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여 5%대에 도달할 때에도, 한국은행은 3.5%를 오랫동안 고수해왔는데요, 미국 금리 인하가 한국 경제에는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
|
|
👨💼 미국 파업, 글로벌 해운업 마비 초래: 하루 파업에 물류 정상화 5일 소요
미국 동해안과 걸프 해안의 36개 주요 항구가 10월 1일 파업에 직면하면서 글로벌 공급망에 심각한 차질이 예상되고 있으며 이로 인해 화물 비용 상승과 함께 겨울 연휴 물량 수급에도 큰 타격이 우려된다.
하루의 파업으로도 항구 정상화에 최대 5일이 소요될 것으로 예측되며, 파업이 길어질 경우 복구는 수 주에서 수개월이 걸릴 수 있다.특히 뉴욕·뉴저지 항구는 하루 6억 4천만 달러의 손실을 볼 수 있다.
|
|
|
🚀 일본 주요 항만 컨테이너 물동량 증가
일본 주요 6개 항만이 7월에 총 1.17백만 TEU를 처리하며 4개월 연속 물동량 증가를 기록, 전년 대비 3.3% 성장했다. 수출은 571,534 TEU(3.3% 증가), 수입은 594,158 TEU(3.2% 증가)로 나타났다.
도쿄 항은 346,740 TEU를 처리하며 3.5% 증가했고, 요코하마 항은 237,988 TEU로 3.4% 성장했으며, 나고야 항도 219,028 TEU를 처리하며 3.5% 상승했다.
반면, 가와사키 항은 16.3% 감소해 6,096 TEU를 기록하며 하락세를 보였고, 오사카와 고베 항은 각각 3.4%와 2.9%의 증가를 기록하며 안정적인 성장세를 유지했다.
|
|
|
🚀 바르셀로나 항구, 올해 첫 8개월간 컨테이너 물동량 22% 증가
바르셀로나 항구는 올해 8월까지 총 4,770만 톤의 물동량을 기록하며 11.4% 증가했고, 컨테이너 물동량은 22.1% 증가한 2,660,122 TEU를 처리했다.
컨테이너 수입은 4%, 수출은 5.2% 증가했으며, 세계 항로 재조정과 내륙 생산 시스템 강화로 인해 환적 화물은 41.3% 증가했다.
액체 벌크는 화학품과 휘발유의 강세로 11% 증가했으나, 고체 벌크는 시멘트 및 곡물 감소로 10.7% 감소했고, 차량 운송은 유럽 자동차 시장 부진으로 12% 하락했다.
|
|
|
📣 지금까지 읽으신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
|
|
- 신흥국의 對중국 무역장벽 강화 및 시사점 (🔗 국제금융센터)
[이슈] 금년 들어 태국, 멕시코 등 10여개 주요 신흥국들이 중국산 수입품에 대해 관세 인상, 반덤핑 조사 착수 등 무역장벽을 강화하는 모습
[배경] 중국산 수입 증가로 각국의 생산·고용 감소 등 산업 타격이 우려되는 가운데 최근 심화된 중국의 공급 과잉에 따른 저가 수출 등에 대한 대응 필요성이 증대된 데 주로 기인 [전망] 높은 對중국 경제 의존도 등을 감안할 때 선진국과 같이 전면적인 통상마찰 상황은 자제할 것이나, 중국 기업들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한 공격적인 해외시장 진출에 대한 경계감 등으로 對중국 무역장벽 강화 움직임이 한층 확대될 가능성
[시사점] 선진국에 이어 신흥국으로 보호무역주의 기조가 확산됨에 따라 인플레이션 압력 강화, 공급망 불확실성 증대 등 부작용으로 글로벌 경제의 부담이 커질 수 있음에 유의할 필요 - 실제로 미중 대립이 본격화된 `18년 이후 전 세계 무역규제 조치 건수가 3.7배까지 확대 되는 등 각국의 자국우선주의 및 보호무역주의 심화 추세가 뚜렷
- 최근 국제유가 관련 주요 관전포인트 점검 (🔗국제금융센터)
[이슈] 국제유가는 7월초 이후 약세를 지속하며 최근 연중 최저치로 하락. - WTI 가격은 7월초 $83에서 9.10일 $65.75로 9개월래 최저치 기록 후 최근 $70선 회복.
[관전포인트① : OPEC+ 생산정책] OPEC+는 지난 6월 예고한 감산완화 계획을 2개월 연기(10월→12월)했으나, 2년째 이어온 감산정책을 되돌리기 위한 수순을 밟고 있는 것으로 평가
[관전포인트②] ▲중국 및 미국 수요 부진 ▲비OPEC+ 생산 호조 등 하방압력이 우세.▲원유재고 감소 ▲중동 사태 ▲연준 피봇 등 상방요인의 영향은 제한적 - 수요 : 중국 원유수요는 경기둔화, 운송연료 부문의 에너지 전환 등으로 회복 지연 - 비OPEC+ 생산 : 금년 미국 원유생산은 역대 최대치를 기록 중이며, 내년에도 증가세가 예상.
[종합평가] 최근 원유수급 펀더멘탈을 감안하면 당분간 국제유가의 상승 전환은 쉽지 않아 보이며, OPEC+의 감산완화가 시작되면 국제유가 하방압력이 더욱 강화될 소지. - 국제유가가 약세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감산보다 수요 회복이 필요. 따라서 수요가 회복될 수 있도록 국제유가가 충분히 낮아져야 비로소 반등을 모색할 것으로 예상
|
|
|
▲ 이미지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