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고용보고서 결과] 미국의 비농업고용은 8월 중 14.2만명 증가하며 시장 예상 (+16.5만)을 하회하였으며 실업률은 4.2%로 0.1%p 하락 - 시간당 평균임금(AHE: Average Hourly Earnings)은 전월대비 0.4%(전월 0.2%, 예상 0.3%), 전년동월대비 3.8%(전월 3.6%, 예상 3.7%) 상승
[노동시장 동향] 노동 수급 불균형은 상당폭 완화된 가운데 대부분의 지표들은 노동시장의 점진적인 냉각과 임금상승세의 둔화를 시사
- 노동수급 균형 근접: 노동수급 격차(Jobs-workers gap)는 7월 51만명으로 큰 폭 감소하면서 정점(619만명, `22.3월) 대비 크게 완화 - 노동시장의 냉각 진행 중: 비농업고용 증가세 둔화, 실업률 상승, 자발적 퇴사 및 신규채용 둔화등을 감안시 노동시장의 냉각이 진행 중. 다만, 해고는 여전히 제한적 - 임금상승세 둔화: 명목 임금상승률은 점진적으로 둔화되고 있으나 여전히 과거 대비 높은 수준으로, 생산성 부합 수준(3.0~3.5%)을 상회 [금융시장 반응] 미국 주가는 고용지표가 시장 기대를 하회하고 빅테크 중심의 밸류에이션 부담 우려가 지속되면서 하락했으며 안전자산 선호현상으로 국채금리는 하락, 달러화는 강세
[평가 및 전망] 8월 고용보고서는 예상을 하회했으나 9월 FOMC의 50bp 인하 필요성이 높아질 정도 의 부진은 아니었다는 평가가 우세해 9월 25bp 금리인하 가능성이 증가
[경과] 최근 유로존에서는 9월 통화정책회의에 앞서 임금상승률, 인플레이션, 기대 인플레이션 등 ECB가 주시하는 주요 물가지표들이 큰 폭 둔화 [평가] 유로존 디스인플레이션은 공급여건 개선, 통화정책 파급에 의한 수요 둔화가 주도. 최근 서비스 물가상승률 반등은 올림픽, 임금상승 등의 영향이 크며 상방 위험은 제한적 [전망 및 시사점] 기 발표된 물가 관련 지표들의 추이에 비추어 볼 때 9월 금리인하 기대감이 강화되는 한편, 서비스 물가상승률에 대한 경계감은 금년까지 지속될 전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