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 운임은 아래 사이트에서 제한없이 조회하실 수 있습니다. |
|
|
💰글로벌 최소세(Minimum Tax)와 해운 산업
최소세란 말그대로 다국적 기업들이 자국 또는 타 국가에서 최소한의 세금을 납부하도록 하는 정책입니다. 기업들이 세금을 적게 내기 위해 조세피난처를 활용하는 것을 막기 위한 정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해운 산업은 선박의 국적을 법인세율이 낮은 국가로 설정하여 높은 세율을 피하고 있는데요, 이로 인해 해상운임이 상승 압박을 받게될까요?
|
|
|
👷 미국 동부 항만 노조, 높은 수준의 임금 인상 요구
ILA 는 다음 6년간의 계약 기간 동안 동부 및 걸프 해안의 해운사 고용주들과의 협상에서 거의 80%의 임금 인상을 요구하고 있으며, 새로운 노동 계약이 9월 30일 만료 이전에 체결되지 않을 경우 파업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다.
해운사 소식통에 따르면 ILA는 매년 시간당 5달러 인상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는 이전 두 차례의 집단 교섭에서 합의된 시간당 1달러 인상에 비해 큰 상승폭이다.
|
|
|
⚓ Maersk CEO : 미동부, 걸프 연안의 항구 파업은 '가능성이 매우 낮다'
Maersk CEO Vincent Clerc는 미국부 및 걸프 해안의 해양 터미널에서의 파업 가능성이 낮다고 언급했다. 국제항만노동자협회(ILA)와 미국 해양 연합(USMX) 간의 현재 계약은 9월 30일에 만료되며, ILA는 새로운 계약이 체결되지 않으면 파업을 예고했다.
ILA와 USMX 간의 협상이 진행 중이며, ILA는 차기 6년 계약 기간 동안 약 80%의 임금 인상을 요구하고 있다. Clerc는 파업이 발생하면 혼잡과 지연으로 인해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경고했다.
|
|
|
🌿 튀르키예, 자체 ETS 출시
터키 의회는 해운 부문에 대한 탄소 가격 책정 메커니즘을 승인하여 터키 항구에 입출항하는 선박의 배출량에 세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했다.
터키의 배출권 거래 제도(ETS)는 유럽연합(EU)의 ETS와 일치할 것으로 예상되며, 터키 ETS의 승인은 국가의 광범위한 기후 전략의 일부로 보인다.
터키 항구의 교통량 증가로 컨테이너 환적 교통이 터키 항구에서 증가함에 따라 선사들이 터키를 환적 허브로 사용하여 EU 탄소세를 회피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었다. 이에 대응하여, 아시아와 유럽에 걸쳐 있는 터키의 새로운 ETS는 EU와의 해상 무역 규정을 조정하여 잠재적인 허점을 해결할 것으로 예상된다.
|
|
|
🧯 닝보항 폭발인한 폐쇄, 아시아 병목 현상 심화
Hapag-Lloyd에 따르면 중국 닝보 항구의 폭발로 인해 폐쇄되었으며, 이는 이미 지연되고 있는 아시아 주요 수출 항로의 해상 운항 일정을 더욱 악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닝보 항구는 태풍과 기상 악화로 인해 이미 지연이 발생하고 있었으며, 이번 폭발로 북미와 유럽으로의 수출 일정에 더 큰 혼란이 예상된다.
|
|
|
📣 지금까지 읽으신 정보를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싶으시다면? |
|
|
🤦♀️ 기존의 관세청 및 해양수산부 제공 데이터는 중량과 거래 금액을 중심으로 제공되어 컨테이너 물류 담당자들에게 필요한 정보를 충분히 제공하지 못했습니다.
🙆♂️ 이번에 새롭게 제공되는 Trade Data 서비스에서는 특정 Port를 입력하면 해당 Port로 수출된 컨테이너 기반의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특정 Port로 선적한 주요 선사와 그들의 선적량을 비교할 수 있게 해주며, 해당 Port로 주로 수출된 주요 품목을 확인하고 급등락한 품목을 분석할 수 있습니다.
📈 또한, 해당 Port로 많이 수출한 회사의 목록과 회사별 수출량을 비교할 수 있는 기능도 제공합니다.
추가로, 3분기 전에는 선사 데이터를 활용한 대시보드도 구성할 예정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 |
|
|
- 최근 미 달러화 변동요인 점검 및 전망 (🔗 국제금융센터)
[현황] 미 달러화는 하반기 들어 연준의 9월 금리인하가 가시화됨에 따라 약세로 전환 했으며, 7월 고용지표 발표 후 미국 경기침체 우려가 더해지면서 약세폭 확대 [요인 별 점검] 7월 들어 달러화가 약세로 전환했으나, ▲미국 예외주의 ▲내외금리차 ▲글로벌 경기 부진 등의 요인이 향후 달러화 움직임에 주된 영향을 미칠 소지
- 미국 예외주의: 美 경제 비관론이 커졌지만 견조한 소비에 기반한 2분기 성장 호조 등을 고려할 때 경기침체 판단은 시기상조, 여타국 대비 강한 성장세가 달러화를 지지 - 내외금리차: 최근 BOJ의 예상보다 이른 금리인상으로 달러화 약세폭이 확대되었으나, 여전히 연준과 여타국 간 넓은 내외금리차가 유지되면서 달러화 약세를 제한할 전망 - 글로벌 경기 부진: 미국뿐만 아니라 유로존(독일 경기회복 지연, 프랑스 정치적 불확실성 등), 중국 (내수 부진, 부동산 시장 위축 등) 등의 경기 부진 경과에 따라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강화될 소지
- 美, 대중 반도체 수출 통제 강화..일부 동맹국 예외 적용
(🔗글로벌 공급망 인사이트)
■ 7.31일(현지시간) 현지 언론에 따르면, 美 행정부는 해외직접생산품규칙(FDPR)*의 일환으로 중국의 첨단 반도체 기술 접근을 제한하는 신규 수출 통제안을 발표할 예정이라고 보도 * 해외직접생산품규칙(Foreign Direct Product Rule, FDPR): 미국産 기술 및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제품의 수출 시, 美 상무부의 허가를 의무화하는 규정
- 신규 통제안은 ▲중국 반도체 생산공장, ▲장비 제조업체, ▲설계 자동화툴(EDA) 소프트웨어 제공 업체 등약 120개 中 기업을 거래제한 대상에 추가하는 내용 포함
■ 금번 규제에는 ⽇·네덜란드 등 30개국은 예외를 적용하여 도쿄일렉트론· ASML 등 일부 반도체 장비 업체의 규제 제외 가능성 제기 - 현지 언론은 美 정부의 中 기업 대상 고대역폭 메모리(HBM) 반도체 공급 규제가 주요 메모리 반도체 제조사에 영향을 끼칠 수 있음을 시사
|
|
|
▲ 이미지를 클릭하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
|